제작 중인 조이스틱+터치패널 스플릿 키보드가 어느정도 모양이 나와서 작성하는 포스트.

 

 

더보기

 

지난 5월 초 부터 스플릿을 만들어보려고 끼적대기 시작했는데 이제야 좀 모양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 동안 구성도 몇번 갈아 엎은 것도 있고 면이 이리저리 꺾이는 부분도 많고

특히 하판은 곡면으로 돼있어서 모델링 하는데 상상이상으로 오래걸렸다.

 

 

 

아무튼 그래서 반쪽 모델링 완성 후 이름을 지어줘야 할 것 같아서 (그 동안 그냥 Split Test 였음)

떼껄룩 디코에 물어봤는데 당연히 제대로 된 대답은 못들었고😑

제일 먼저 대답해준 친구 닉네임인 Rox를 넣어서 ErgoRox로 지었다.

 

어감도 나쁘지 않고 숫자 50 붙여주니까 키보드 스러운게 있어보여서 괜찮은 듯

 

 

 

짤은 마지막 수정 전에 찍은건데 PCB는 KiCad에서 아웃라인을 잡아준 뒤 캐드 파일로 뽑아서

하우징과 간섭이 있나 인벤터에서 체크해 보는 식으로 작업했다.

 

아무래도 평소에 만들던 네모네모 디자인이 아니라서 여기도 손이 꽤 많이 갔는데

2개 툴을 오락가락하며 수정하는 것도 꽤 재밌는 경험이었다.

 

 

 

최종적으로 완성한 PCB.

메인 매트릭스랑 서브 매트릭스가 따로 나뉘고 거기에 컨트롤러가 올라가는 보드 따로

조이스틱용 보드가 따로 (터치 패드는 리본 케이블로 연결) 들어가면서 구성이 엄청 복잡해졌다.

 

SMD 다이오드와 Per-Key LED는 처음 넣어봐서 배선할 때 엄청 헤맸는데

Krytox 님이 Vcc / GND 끼리 병렬 연결하고 DIO는 일렬로 이어주면 된다고

말씀해주신 덕분에 쉽게 쉽게 완성할 수 있었다.

 

왼쪽 아래에 있는게 왼손 엄지쪽에 들어가는 조이스틱 용 보드인데

 

 

요 똥글뱅이를

 

 

왼쪽 하우징 하부에 끼우고

 

 

상부 하우징이 커버하는 구성으로 만들었다.

(엄지 각도에 맞춰서 각도 조정하려고 원형으로 만듬)

 

 

 

아무튼 이제 과제는 3개 정도 남은거 같다.

1. 상하부 체결방식
자석 생각해서 나사 없이 얹는 식으로 설계했는데 면 안맞으면 떨그덕 거릴 것 같당
자석 크기를 키우고 실리콘 댐퍼를 붙이는 것도 생각해 봤는데

혹시 더 좋은 방식이 있을지 아직 고민 중이다.

2. TRRS 단자 구멍
단자가 벽에 딱붙게 설계하면 벽 두께가 너무 얇아지고
그렇다고 단자를 벽에서 띄우면 구멍이 너무 커져서 보기 흉하다;;;
다른 하우징들은 어떻게 처리했는지 참고해봐야됨.

3. 조이스틱 구멍 사이즈
이거 때문에 한 이틀은 날린거 같은데 조이스틱 노브 포함 치수 자료가 아무리 찾아봐도 없다;
일단 넉넉하게 뚫어놨는데 조이스틱 오면 실측해서 수정해야할 것 같다.

 

 

끗.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dnightGlow40 v1  (2) 2023.08.07
Mini Ave v2.0 2호기  (1) 2023.07.23
Mini Ave v2.0  (1) 2023.04.17
Mini Ave v1.0  (0) 2023.03.06
RAMA Grid 키캡  (0) 2022.12.28

빅베젤 스타일의 40% Planck 키보드 제작기


저번 글 마지막에서 적었던 빅베젤 플랭크를 완성했다.

 

맨 처음 디자인할 때는Piggy60를 생각하고 만들기 시작해가지구 Mini Piggy 라는 이름으로 만들었는데
맥북 느낌으로 곡면을 위아래로 넣으면서 피기와는 완전히 다른 느낌의 빅베젤이 됐음

색은 피아노 블랙이 포인트로 어울릴 것 같아서 MidnightGlow40라고 이름도 바꿔주고 유광으로 도색했는데..

막상 좀 써보니 유광은 지문이랑 기름도 엄청 묻고 먼지도 눈에 너무 잘띈다 😑
키캡도 맞춤으로 라마 그리드 끼워놔서 사진 한장 찍을 때마다 빡빡 닦아줘야됨;

아마 나중에 하나 더 만들게 된다면 그땐 무광 검정으로 만들거 같다.

 

 


3D 프린팅은 저번과 같이JLCPCB 에 맡겨서 뽑았고
블랙 서페이서 - 샌딩 - 유광 블랙 - 유광마감으로 도색했다.

 

프라모델의 경우 초벌 샌딩을 안해주면 표면에 도막이 제대로 안붙는 현상이 있다
락카 도료가 플라스틱 표면을 약간 녹였다가 굳으면서 도막이 단단하게 안착되는 과정이 필요한데


레진의 경우 락카에 녹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샌딩 해주고 안해주고 도막 차이가 꽤 있었고
메탈 프라이머 - 서페이서 - 도료 - 마감제도 해봤는데 오히려 프라이머 있고 없고 차이는 못느꼇음..


참고로 타사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JLBPCB의 경우 3D 출력물에 샌드 블라스트 + 샌딩이 돼서 오기 때문에
받자마자 바로 서페이서를 올려줘도 도막이 굉장히 잘 붙는다.

물론 샌딩이 섬세하게 되는건 아니라서 면잡는건 한번씩 해줘야 하고
가끔 경화불량 있거나 샌드블라스트가 집중돼서 모서리가 뭉개진 경우 퍼티질도 필요하다.

 

 

 

PCB는 이전에 미리 뽑아둔 Mini Ave v2 의 메인 매트릭스 기판.
사실 Mini Ave 기판 뽑을 때 MOC 때문에 4x12 기판이 남아돌아서 시작한거긴 하다;;

 

 

 

그래서 컨트롤러도 옛날에 아두이노 키패드 만들때 썼던걸 떼왔다
어쩌다보니 제대로된 프로젝트가 아니고 이쁘장한 짬통단지를 만든거 같긴한데;;;

뭐 이번 꺼는 어짜피 PCB보다 하우징이 메인이니까...

 

 

 

아무튼 하우징 안에 공간이 타이트한 편이라서
붙어있던 micro USB 단자는 뽑아버리고 선을 새로 따서 C type USB포트를 달아줬고

USB 단자쪽 패드가 비좁다보니 USB 선따기가 이번 제작기에서 제일 어려운 부분이었던거 같다.

 

 

 

컴터 연결했을 때 QMK Toolbox에서 Connected 뜨고 펌웨어도 잘 올라가지면 성공!

 

 

 

문제는 떼왔던 아두이노가 살면서 아두이노를 처음 만져봤을 때
마루타 당했던애라서 동박이 멀쩡한데가 없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2x4니까 16개 핀이 필요한데 기존 핀아웃으로는 딱 2자리가 모자르길래 LED 핀아웃 뺏어다 할당해줬다.
사진은 뒤집혔는데 LED 아래의 저항을 디솔해주고 나오는 패드에 납땜해주면 B0 D5 핀을 쓸 수 있다.

 

사진은 사실 QMK 코드짤 때 핀아웃 적으려고 찍은거라 정확히 어딜 만진건지 잘 안보이는데

Pro Micro LED Pinout은 골렘 프로젝트 페이지에 굉장히 알기 쉽게 되어있으니 참고.

 

 

 

기판은 절연+흡음 효과를 위해 마스킹테이프를 발라준뒤 컨트롤러와 합체해주고

 

 

 

 하우징에

즉 시 삽 입

 

 

 

근데 그대로 써보니 텅텅거림이 꽤 있어서 PE 폼도 얇게나마 깔아줬다.

 

 

 

뒷판은 하나아크릴에 미리 맡겨서 재단해둔 아크릴과 고무발로 마감.

 

 

 

하우징 내부 체결 구조는 대충 이런식.
안에 빈공간이 많고 가벼우면 텅텅 소리가 크길래 최대한 덩어리를 크게 만들어 본건데
PE 폼을 넣어줘야 할정도로 생각보다 흡음이나 방음 효과가 그렇게 좋지는 않았다

 

 

 

그 뒤에는 이전에 만들어둔 QMK 코드를 조금 수정해서 뽑아주면... 

 

 

 

완성!

 

키캡은 RAMA WORKS GRID

스위치는 구 아쿠아킹 윤활

테이핑 + PE 폼 적용

 

[링크]

 

핸드폰으로 대충 녹음해본 타건음.
들어보면 알겠지만 체결 구조 문제인지 위치에 따라 소리 편차가 크다;

다음번에 다시 뽑는다면 하우징 구조부터 바꾸고 다시 뽑아야갯다.


끗.

 


 

JLC PCB에 처음 주문을 넣을 때 옵션이 워낙 다양하다보니

헤메는 경우가 많을 것 같아 주문방법도 같이 포스팅한다.

 

 

JLCPCB에 들어가면 메인화면이 이렇게 뜰텐데

 

 

PCB를 뽑으려는 경우 화면 중앙에 있는 [Add gerber file] 부분에

준비해둔 거버 zip 파일을 드래그래서 먹여주면 된다.

 

 

 

 

그 뒤에는 자동으로 거버파일을 읽어와서 프리뷰를 보여주고

제작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Layer 수나 사이즈 같은 부분은 거버파일에서 알아서 읽어와서 들어가는 항목이고

Panel Qty의 경우 최소 주문 수량 (MOC) 이 5장이므로 보통 5장을 넣고 주문한다.

 

좀 헤깔릴 수 있는 부분이 Different Design 부분인데

한장짜리 거버라도 스샷처럼 쪼개서 4개로 나눠지는 경우 Design 갯수는 4를 넣어줘야 한다.

 

1장으로 적는 경우와 4장 적는 경우의 가격차이가 꽤 큰데

고의로 낮게 적어서 주문 넣어봤자 제작 전 컨펌 과정에서 추가금 요청이 오기때문에

시간을 아끼려면 양심적으로 적어주는게 좋다.

 

일반적인 키보드 PCB는 PCB 두께 1.6에 기본설정 그대로 뽑으면 된다.

PCB 색상은 원하는거 고르면 되고...

그 밖에도 설계한 PCB에 VIA가 있다면 관련 설정도 한번 확인해 주면 된다.

(보통 기본설정 그대로 건드릴 것 없이 뽑으면 된다)

 

 

 

 

3D Printing의 경우 화면이 약간 다른데 훨씬 간단하다.

SLT 파일을 업로드하고 프린팅 소재와 색상, 후처리 여부와 갯수만 지정해주면 된다.

각 재질별 특성이 있긴한데.. 키보드 하우징 용으로는 보통 Black Resin으로 뽑는다.

 

 

 

 

그 아래에 Product Description 항목이 있는데

키보드 하우징이라면 Office Appliance & Accessories → Keyboard Enclosure 를 선택해주면 된다.

 

 

 

 

위와 같은 작업들을 마친 뒤 Save to Cart를 누르면 카트에 보관되고,

카트에서 결제하려는 상품을 골라 주문하면 된다.

 

여기서 가격차이가 큰게 배송수단인데

개인적으로는 제일 싼 e-Express 보다 S.F이 가격대비 빨라서 좋았다.

 

 

 

 

이렇게 결제까지 마치고 나면..

 

 

 

Order History 페이지에서 진행과정을 직접 체크할 수 있다.

 

보다시피 3D Printing의 경우 빠르면 주문 후 2일 내에 완성되는 편이고

PCB의 경우 보통 컨펌까지 해서 3일 정도가 소요됐다.

 

배달은 위에서 말한 S.F를 쓸 경우 약 일주일 정도가 소요되므로 왠만하면 2주 내에는 받아볼 수 있었다.

 

 

끗!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goRox50  (4) 2023.08.17
Mini Ave v2.0 2호기  (1) 2023.07.23
Mini Ave v2.0  (1) 2023.04.17
Mini Ave v1.0  (0) 2023.03.06
RAMA Grid 키캡  (0) 2022.12.28

위쪽은 저번에 아크릴 본딩으로 만든거고 (링크)
이번에는 JLCPCB에 3D 프린팅 맡겨서 만들어봤다


※ 당연히 광고 받은거 아님;

 

더보기


블랙레진으로 출력해서 가격은 출력 7만 + 배송 1.7만 (S.F) 정도가 들었고
결제 후 받기까지 일주일 약간 넘게 (6/15 결제 ~ 6/23 수령) 걸렸다.

 

 

프린팅 품질은 거의 완벽에 가까웠다

유일한 흠을 잡자면 사진처럼 직선 부분에서 살짝씩 울렁이는게 있는데
미세하게 울렁이는거라 자대고 보는거 아니면 눈에 잘 안보이기도 하고

퍼티로 때울 수 있는 수준도 아니라 그대로 작업했다


일단 20cm 넘는 평면+직선 하우징을 대각선으로 프린팅하면서
거의 워블이 보이지 않게 뽑은것 만으로도 엄청난 기술력이다



도색은 타미야 프라이머 - 군제 화이트 서페이서 (2캔) - 군제 화이트 - 군제 반광 마감제

JLC에서 샌딩까지 돼서 오기 떄문에 프린팅 결이 거의 안보이긴 하지만

막상 서페이서 올리고 보면 여기저기 면이 안잡힌 곳이 보이기 때문에 서페+샌딩도 좀 해주는게 좋은 것 같다

 

 

경험상 일신 락카나 몬타나 골드는 분사량이 너무 많아서 떡지거나 흘러내리기 쉬웠다

프라모델용 도료가 도막이 얇고 약한대신 고르게 잘붙어서 막뿌려도 실패할 일이 없고

도막도 마감제만 여러번 나눠서 많이 뿌려주면 잘견뎌줬다.

 

 


이건 지금 작업중인 맥북 느낌의 빅베젤 플랭크

얘는 후면에 벌레 파먹은거 처럼 경화불량 난 데가 좀 있는데
전체적인 형태가 너무 잘나와서 그냥 퍼티로 떄우고 작업중이다.

 

 

 

끗!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goRox50  (4) 2023.08.17
MidnightGlow40 v1  (2) 2023.08.07
Mini Ave v2.0  (1) 2023.04.17
Mini Ave v1.0  (0) 2023.03.06
RAMA Grid 키캡  (0) 2022.12.28

 

Mini Ave v1.0에서 맘에 안들었던 부분을 수정해서 다시 만들었다.

 

 

더보기

 

전작에서 상하판 사이 틈새가 제일 큰 문제였기 때문에
최대한 공차가 없거나 있더라도 조립시 문제가 없도록 설계를 수정했고
레이저 가공상 어쩔 수 없는 부분들은 퍼티+샌딩으로 완성시켰다.

 

퍼티랑 아크릴 색이 다르다보니 도색도 해줬는데
타미야 PS1 화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용)로 도색하고
몬타나 T1010 무광 바니쉬를 올려서 마감해줬다.

 

 

 

저번 v1.0 에서 실패했던 기판도 만들어줬다!
저번에 만들 때는 KiCad가 뭔지도 아예 모르는 상태에서 PCB generator로 만들다 보니 에러가 났던거고
정석대로 회로도를 만든뒤 기판을 뽑으니 원하는 모양대로 잘나왔다.

(스샷은 나중에 Teensy 기판까지 추가한거고 v2 만들때는 Teensy 기판 빼고 뽑았다)

KiCad로 기판 만드는건 이 글이 진짜진짜 도움이 많이 됐다 : [링크]

 

 

 

아무튼 그래서 뽑은 기판으로 이렇게 조립만 하면 되는데

 

 

 

뭔데 왜 틴지 2.0이 없는건데

 

 

 

그래서 급한대로 스플릿갤 천둥신님한테서 RP Micro를 구매했다.

 

물론 틴지 3.2나 아두이노 나노로도 만들 수 있겠지만..
안그래도 도움 받기 힘든 이쪽 분야에서 다른 사람들이 안가는 길을 가는건 자살행위다.

 

 

 

아무튼 서브 기판은 요렇게 연결해 주고

 

 

 

만들어둔 하우징에 삽입!!!!!!!!!!!!!!!!!!!!!!!


으로 끝나면 좋겠지만

 

 

 

이번에도 돌아온 지옥의 코딩 시간

기존에 쓰던 아두이노나 Teensy 같은 ATmega32 기반이 아니라 RP2040이라
기존 코드에서 이것저것 수정하는데 꽤 걸렸다.

 

 

 

거기다 QMK를 업글하고 나니 뭐이리 변수가 바뀐게 많은지
KC_NBLK 도 KC_NUM 으로 바뀌고 이것저것 잡다하게 고칠게 많았다

 

 

 

이것저것 뜯어고쳐서 펌웨어는 완성.

솔직히 이제 회로나 납땜 이런건 이제 감흥이 없고 컴파일 잘될 때가 기분이 제일 좋다 ~_~

 

 

 

흡음재는 늘 그렇듯이 테이핑+PE 폼

 

 

 

완성~

 

 

 

 

이번에도 타건 영상
RP2040 용량이 남아돌아서 OLED 애니메이션에 프레임을 좀 추가했다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dnightGlow40 v1  (2) 2023.08.07
Mini Ave v2.0 2호기  (1) 2023.07.23
Mini Ave v1.0  (0) 2023.03.06
RAMA Grid 키캡  (0) 2022.12.28
Plaid  (0) 2022.08.16

19년도 쯤 공제 중 좌초된 전설의 오쏘 the Ave의 미니버전을 만들어봤다.

 

더보기

매번 그렇듯이 스케치업으로 설계해서 도면은 나노캐드로 뽑아서 완성.

 

아크릴 적층으로는 구현하기 힘든 입체구조다 보니 본딩으로 모든 부분이 연결되는 식이고

결과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시간과 돈이 미묘한 단차를 맞추는데 소요됐다.

 

원래 계획은 키캐드로 자체 도면을 뽑아서 만들려고 했지만

뭐가 문제인지 상판-하판을 연결하는 리본 케이블 부분에서 에러를 뱉길래 포기;;

성격이 급하다보니 결국 기성+와이어링이라는 기괴한 조합으로 완성됐다.

 

 

 

아무튼 그래서 내부는 이런 상태.

Boardsource.xyz에서 산 4x12 ortho 기판에서 선만 따와서 틴지로 넣어주는 식이다.

 

문제는 이놈들이 상품 소개 페이지에 펌웨어 링크도 안걸어 놧으면서

QMK 깃헙에 올라가있는 펌웨어 핀맵도 다르게 돼있었다;;;

Column은 맞는데 Row가 안맞아서 하나하나 찍어보고 수정해서 완성했다.

 

 

 

요건 타건영상.
스위치는 삼신흑에 카일레드 50g 스프링으로 바꾸고 간단한 윤활작업만 해줬다.
기판쪽에는 테이핑이랑 얇은 PE폼 한장 깔아준게 전부.

 

OLED의 애니메이션은 이전에 찍어둔 고양이 댄스를 넣었고

하우징 중간의 이음새는 설계문제라서 다음 버전에서 개선했다.

 

제작 난이도가 좀 있는 하우징이라 재밌어서 2~3개 정도 만들어볼 예정이다.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 Ave v2.0 2호기  (1) 2023.07.23
Mini Ave v2.0  (1) 2023.04.17
RAMA Grid 키캡  (0) 2022.12.28
Plaid  (0) 2022.08.16
풀 와이어링 아크릴 M50-A 제작기  (0) 2022.07.12

지난 10일에 RAMA에서 산 Grid 키캡이 드디어 배송이 왔다.

 

더보기

구성품은 주문한 키캡 4세트 외에도 빠따오리 스티커 한장, 홀로그램 스티커 한장

그리고 환불용 레터카드? 한장이 들어있었다.

 

키캡 포장은 사진처럼 길다란 지퍼백에 10개씩 비닐로 감싸서 온다.

키캡 트레이가 있다면 좋겠지만 한세트에 5만원 정도로 RAMA 치곤 상당히 저렴한 편이니 감안해야하는 부분.

 

 

가지고 있는 키보드가 죄다 검은색이라

ICED, BLACK, WHITE, NOCT(반투명 검정) 이렇게 4세트를 샀는데

흰검 믹스는 생각보다 싼티나는 느낌도 있고 아예 컬러풀하게 장난감 느낌으로 가는게 오히려 나았을지도;;

 

 

유광이 이쁘기도 하고 손가락으로 만지작거릴때 기분좋긴한데 이거 지문이 너무 남는다!

특히 검은색은 먼지까지 엄청나게 눈에 띄어서 한번 손대면 안경닦이 천으로 닦느라 바쁠수준;

그나마 흰색이나 투명색 계열은 지문이나 먼지가 눈에 잘 안보이는 편인데

이쪽은 은근히 어울리는 케이스 찾기도 어렵고 미묘하게 싼티난다.

 

 

배열은 익숙하니까 손 올려놓고 채팅치는건 별로 문제가 안되는데

작업할때 한손만으로 단축키 누르는건 거의 매순간이 가챠다;;

F,J 키 용으로 구분감있는 돌기 키캡을 2개씩 넣어주면 더 좋았을텐데

아무리 5만원이라도 극한의 금형 아끼기는 조금 아쉽달까.

 

플레이드는 흰색이 어울릴줄 알았는데 다 꽂고보니 안어울려서 반투명 블랙으로 바꿔껴줬다.

흰색은 이런느낌

흰색은 오쏘면 무조건 어울리겠거니 했는데 실물을 만져보니 금속 케이스에 더 잘 맞는 것 같다.

 

깜장색은 저번에 만든 아크릴 M50-A에 껴줬다.

이쪽은 무광 유광 블랙이 잘 어울려서 맘에는 드는데 역시 지문이랑 먼지가;;;

기념사진 한장 찍고 잠깐 썻는데도 지문 떡칠이 되길래 안경닦이로 한번 슥하고 옆에 모셔뒀다😑

 

 

 

해외주문한게 아직도 2건이나 남았는데 언제 다 오려나

 

끗.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 Ave v2.0  (1) 2023.04.17
Mini Ave v1.0  (0) 2023.03.06
Plaid  (0) 2022.08.16
풀 와이어링 아크릴 M50-A 제작기  (0) 2022.07.12
Plaid OLED  (2) 2022.06.12

이쁘고 귀여워서 요즘은 계속 이것만 쓰는 중

애니메이션 도트 새로 찍었는데 바꿔주기 귀찮다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 Ave v1.0  (0) 2023.03.06
RAMA Grid 키캡  (0) 2022.12.28
풀 와이어링 아크릴 M50-A 제작기  (0) 2022.07.12
Plaid OLED  (2) 2022.06.12
Plaid Kit  (0) 2022.06.04

기키갤에는 몇번 사진 올렸던 RAMA M50-A 아크릴버전 파쿠리.

물론 단순 파쿠리는 아니고 왼쪽 매크로 키 부분을 노브로 바꾸고 인디케이터도 넣어줬다.


기판은 Teensy 2.0썼고 펌웨어는 QMK로 코딩해서 넣어줬는데
사실 키보드 자체는 완성한지 좀 됐는데 원하는 기능 이것저것 집어 넣는다고 한참 걸렸다
(특수문자 입력 기능 구성한다고 삽질 좀 함)

 

더보기

 

 

먼저 디자인은 항상 그랬듯이 스케치업으로 작업했다

사용법이 진짜 직관적이라 따로 배울 필요가 없는 툴이기도 하고

클릭 몇번으로 간단하게 (허접하지만) 렌더링도 볼 수 있어서 굉장히 좋다

 

 

물론 곡선이 제대로된 곡선이 안나오고 선으로 분할된 곡선으로 그려져서

아크릴 재단용으로 보낼 최종 캐드 도면은 추가로 수정해줘야 하긴하는데...

그렇다고 캐드나 인벤터 사서 쓰기는 또 미묘해서;;

 

 

 

아무튼 구조는 이렇게 자경 없는 도시락형 비키 하우징에다가 M-50A 스타일 상판을 얹는 방식으로 설계했다

핸드 와이어링 특성상 하부 공간이 많이 필요해서

샌드위치형이나 가스켓형으로 만들면 전고가 너무 높아지는데

 

얘는 특히 키캡이랑 스위치 사이가 거의 안보이게 만들어야 이쁜 디자인이라서

최종적으로 전고가 2.2cm정도 됐다

아마 능력것 와이어링 공간을 최대한 줄이고 자경넣어서 칩들어갈 공간 따로 빼주면

1.8cm까지 줄일 수는 있을거같은데 이미 하판구조물은 다 본딩해버려서;;

PCB가 있었다면 원판만큼 얇게 빼면서 가스켓도 넣을 수 있었을 것 같다


 

 

그럼 이제 스케치업으로 그린 도면을 캐드 파일로 출력해주면 되는데

앞에서 말했듯이 스케치업은 곡선이 선으로 분할돼서 출력되기 때문에

곡선 부분은 싹다 캐드 프로그램으로 다시 그려줘야 한다


캐드 프로그램은 무료 프로그램인 nanoCAD를 쓰고 있는데 거지맨

무료 프로그램이라 그런가 곡선 그리면 자꾸 뒤집어진다😑

이걸로 처음부터 작업하면 성격버릴거 같아서 곡선 그려주는 용도로만 꾸역꾸역 써주고 있다.

 

 

[최종 도면 파일]

위에서부터 5t 아스텔 / 3t 아크릴 / 3t 아스텔 / 8t 아크릴 / 8t 아스텔 / 8t 아스텔


이렇게 완성된 도면으로 하나아크릴에 재단 맡겼고

이후에 만들면서 몇번 수정한 부분도 잇고 해서 한 7~8만원 썼는데

한번에 뽑으면 5만원 내에 가능할 것 같다


 

하우징에서 기판부분은 이렇게 황동 리벳을 박아주고


 

다이오드를 딱 맞게 구부려서



슈슉슉 박아주고 싹 다 납떔해줬다


 

여기에 세로줄은 리벳에 감아서 와이어링 해주고


 

가로줄은 다이오드 다리로 만든 구멍에 바느질하듯이 꿰어줘서 고정.

 

맨 처음 만들었던 오소리에서도 썼던 방식인데 

가로줄은 쭉쭉 땅겨서 만들어줘야 이쁘게 나오고 단선도 안난다.

 


[오소리 제작기]

다이오드 다리에 관통만 시켜서 납땜해도 붙긴하지만

냉납인지 전선이랑 납이랑 안붙어있는 경우가 생겨서 한번씩 감아주는게 좋다.



요게 완성된 키 매트릭스.

맨위에 수축튜브로 전선 뽑아둔건 노브 전선이고

맨 아랫줄의 단자들이 전선이랑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 다음엔 매트릭스에서 선을 따와서 틴지보드에 연결해주는 작업.


주의해야할건 연결할때 오른쪽 종이처럼 꼭 핀 자리를 잘 적어놔야한다.

틴지보드는 핀이 워낙 빽빽해서 칩에 적혀있는 번호랑 실제 핀 번호랑 다른게 몇 군데 있어서

칩에 써진것만 보고 적지 말고 인터넷에 있는 핀맵이랑 대조해서 적어놓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

 

 

틴지에 있던 원래 단자는 개틀딲 Mini USB라서 맞는 케이블 찾기도 힘들길래

원래 있던건 뺸찌로 뜯어내고 USB 3.0으로 따로 뽑아줬다.

USB mini 단자 배치는 이거보고 연결했는데 지금도 인식 잘되고 있음.
솔직히 연결할 때 맞는지 긴가민가 했는데 잘되는거 보면 맞게 했나보다;

 

 

그러고 이제 컴에 연결해서 대충 온라인 펌웨어 빌더로 헥스 뽑아서 올려주면..



한줄이 안눌린다;; 시붕;;;;



 

그래서 다시 다 풀고 컴터에 연결한채로 여기저기 찍어봤는데

어떻게 된건지는 몰라도 전선이 문제였다


 

아무튼 그래서 문제있던 A줄 전선 바꿔주고 정상작동하는거 확인돼서

이제 하우징 마무리만 해주면 끝



 

완성된건 이제 저렇게 대충 잘 말아서

 

 

 


PE폼 깔아둔 하부 하우징에 쏘옥


(만들어볼 사람은 없을거같지만) 도면에 보면 하부 하우징에 저렇게 세로 구조물이 있을텐데
저기는 드레멜로 선 지나갈 자리를 파내줘야 한다.


구조물이 없어도 아마 실 사용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소리가 텅텅거릴 수 있고

무엇보다도 레이저 재단 특성상 저렇게 넓쩎한 ㅁ구조는 중간 부분이 안쪽으로 휠 수 있다

 

 

 

하우징 좌우 길이가 긴편인데 나사가 양 끝에 4개 밖에 안들어가게 설계해놔서

본딩할 때도 중앙이 미묘하게 안으로 들어가게 붙여줘야 이쁘게 나온다

 

사실 나사 8개 정도는 박아줘야 튼튼할테지만 원본 디자인을 최대한 살리고 싶은 마음에...



아 그리고 맨 첨에 리벳으로 작업한 이유는 이렇게 핫스왑으로 쓸 수 있어서다


스위치 핀을 제대로 잡아주는 구조는 아니라서 오래쓰면 부식떄문에 채터링이 생길 수도 있는데
경험상 1~2년은 별 문제 없고 스위치 다리 휘어서 몇번 꽂아주면 다시 잘되는 편이라
오소리 때부터 핸드와이어링으로 만든건 다 이렇게 리벳을 박아주고 있다.

 


스위치는 아쿠아킹 62g 풀윤활.
요즘 사면 서걱킹이라는데 이전에도 선별 필요했던거 생각하면 잘 모르겠고..

다만 이전에는 공장 윤활도 그럭저럭 쓸만했다면 요즘은 좀 과윤활 해줘야 덜 뻑뻑하다는 느낌은 있다.

 

 


반대편 USB 단자 쪽은 글루건으로 마무리 해주면...


드디어 완성~

.

.

.

...은 아니고;;

 


이제 QMK 펌웨어를 만들어줄 차례다
노브랑 LED는 VIA나 온라인 펌웨어 빌더로 안되기 때문에 MSYS로 직접 컴파일한 커펌을 올려줘야한다.

노브·LED는 이전에 다른 키보드 만들 때 이것저것 코딩해둔 파일을 좀 수정해서 만들어 줬다.

 


그렇게 QMK MSYS랑 몇차례 인고의 시간을 거치고...

 

컴파일도 잘되고 실제 올려서 작동도 잘되는걸 확인하면!

.
.
.

드디어 진짜로 완성~!


인디케이터는 NumLock이랑 CapsLock 넣어 놨고 맨아래 LED는 레이어 바뀌면 불들어오게 해놨다

맨 왼쪽 FN키랑 조합해서 →↓↑← Å °C ※ 이런 특문 입력도 되게 구현해놧다.
QMK에서 지원하는 Unicode입력기능은 윈도우에서는 레지스트리를 건드려야돼서

뭔가 펀하지도 쿨하지도 섹시하지도 않길래;; 다른 기능(Alt Input)으로 구현했다.

 


코드 구성 자체는 매크로 만들어주는거랑 똑같아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은 아닌데

잘 알려진 입력 방법이 아니다보니 이런식으로 구현한 사람이 없었던거 같다.

 

[코드 파일]

 


그럼 제작기 끗.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MA Grid 키캡  (0) 2022.12.28
Plaid  (0) 2022.08.16
Plaid OLED  (2) 2022.06.12
Plaid Kit  (0) 2022.06.04
Ortholi75  (0) 2022.05.19

 

저번주 연휴때 Plaid kit에 OLED를 달아주고 직접 도트를 찍어서 만든 봉고캣을 넣어줬다.

애초에 OLED가 없는 킷이라서 인터넷에 떠도는 짤만 보고 도전해본건데 생각보다 쉽게 완성할 수 있었다.

요게 직접찍은 애니메이션.

WPM이 20언더면 잠들고 40을 넘으면 타이핑하고 130을 넘으면 신나게 두들긴다.

 

처음에 애니메이션을 넣을땐 화면이 제대로 안나와서 고생했는데 주사율 문제였고

그 뒤엔 애니메이션 위에 텍스트 띄우는걸로 고생했는데

QMK 디코에서 elpekeñin이라는 친구가 도와줘서 해결했다.

그리고 인터넷상에 돌아다니는 봉고캣 코드는 뭔가 엄청 꼬여있길래 겸사겸사 최적화도 해주고..

 

다음 과제는 QMK에 들어가있는 WPM 기능이 좀 불안정해서 이걸 개선해볼까 고민중인데

문턱값을 넣어서 직전 값과 얼마 이상 차이나면 버퍼를 갱신하지 않는 식으로 구상은 했지만

왠진 몰라도 작동이 잘 안된다;;

static uint8_t wpm_buffer = 0;
#define WPM_THRESHOLD 150
void oled_task_user(void) {
  if( abs(wpm_buffer - get_current_wpm() ) < WPM_THRESHOLD ) { wpm_buffer = get_current_wpm(); };
... }

이런식으로 짰는데 변동값이 150을 넘어가면 이전 값을 유지하는게 아니고 맨위의 0이 들어가 버린다;;

그렇다고 선언만 하고 값을 안넣을수도 없고..

이건 나중에 천천히 고민해봐야지.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id  (0) 2022.08.16
풀 와이어링 아크릴 M50-A 제작기  (0) 2022.07.12
Plaid Kit  (0) 2022.06.04
Ortholi75  (0) 2022.05.19
월페 엔진용 마인크래프트 영상  (0) 2022.03.12

Mech Board에서 구입한 Plaid Kit.

하우징만 따로 설계해서 입혀줬다.

'Hobb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 와이어링 아크릴 M50-A 제작기  (0) 2022.07.12
Plaid OLED  (2) 2022.06.12
Ortholi75  (0) 2022.05.19
월페 엔진용 마인크래프트 영상  (0) 2022.03.12
월페 엔진용 마인크래프트 영상만듬  (0) 2022.02.05

+ Recent posts